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62

문자형(String)과 문자열 연결(&) 본 글은 엑셀 VBA에서 String 데이터형과 문자열 연결 연산자 &의 올바른 활용 방법을 정리하여, 실무자가 다양한 데이터 가공 업무를 신속히 처리하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문자형(String) 데이터형 기본 개념문자형(String)은 문자, 숫자, 기호를 포함한 텍스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형이다.영문·한글 모두 지원하며, 내부적으로 Unicode(UTF-16)로 관리한다.VBA에서 기본 길이 제한은 0~2,147,483,647(≈2 GB) 문자이며, 동적 길이이므로 가변 할당된다.데이터형저장 크기저장 내용예시String (변동)2 바이트 × 문자수텍스트, 숫자, 특수문자"Excel 2025"Integer2 바이트정수(-32,768~32,767)2025Long4 바이트정수(-2,147,483.. 2025. 8. 6.
데이터형(Integer, Long, Double 등) 구분 엑셀 VBA에서 효율적인 코딩을 하려면 변수 선언 시 적절한 데이터형을 선택하여 메모리를 절약하고 실행 속도를 최적화해야 한다. 본 글은 Integer, Long, Double 등의 기본 데이터형을 비롯해 Currency, Date, String, Variant 등 주요 자료형의 특성과 선택 기준을 정리한다.1. VBA 기본 데이터형 총정리데이터형저장 크기표현 범위 또는 형태주요 용도Byte1 Byte0 ~ 255바이너리 데이터, ASCII 문자Boolean2 ByteTrue (-1), False (0)조건 판별 논리값Integer2 Byte-32,768 ~ 32,767작은 정수 카운터Long4 Byte-2,147,483,648 ~ 2,147,483,647대용량 행/열 인덱스Single4 Byte±3.4.. 2025. 8. 5.
상수(Constant) 선언 방법 VBA(Visual Basic for Applications)에서 상수 Const 선언 방법을 명확히 이해하면 코드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글은 상수 선언의 원칙, 범위, 자료형 지정, 실무 적용 예시, 자주 묻는 질문을 총정리하여 엑셀 업무에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상수 선언의 필요성변수와 달리 상수(Constant)는 실행 중 값이 변경되지 않는 식별자이다. 하드코딩된 숫자나 문자열을 상수로 치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는다.코드 의미 전달력이 높아진다 ― ‘VAT_RATE’가 ‘0.1’보다 직관적이다.오타나 계산 실수를 방지한다 ― 한곳에서 정의 후 참조만 한다.유지보수가 용이하다 ― 값 변경 시 선언부만 수정한다.컴파일 최적화가 적용되어 실행 속도가 소폭 향상된다.참고.. 2025. 8. 4.
전역 변수와 지역 변수 차이 본 글은 프로그래밍 초심자부터 중급 개발자, 그리고 Excel VBA를 활용하는 실무자가 전역 변수(Global Variable)와 지역 변수(Local Variable)의 개념‧특성‧활용 전략을 명확히 이해하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전 사례와 코드 예시를 풍부하게 제시하여, 독자가 자신의 프로젝트에 즉시 적용할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한다.변수 범위와 선언 위치의 의미변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메모리 공간이다. 그러나 어디서 선언했는가, 언제까지 살아 있는가에 따라 프로그램 동작과 디버깅 난이도가 크게 달라진다. 범위(Scope)는 변수에 접근 가능한 코드 영역을, 수명(Lifetime)은 변수 유지 시간을 의미한다.전역 변수(Global Variable)란?선언 위치 : 모듈 최상단, .. 2025. 7. 31.
Option Explicit와 변수 선언 강제 이 글은 VBA 코드 상단에 Option Explicit를 선언함으로써 변수 선언을 강제하고 실수를 방지하는 방법을 설명하여, 실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런타임 오류와 디버깅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Option Explicit의 개념과 필요성Option Explicit는 모듈의 첫 줄에 선언하여 모든 변수를 명시적으로 선언하도록 강제하는 지시문이다. 선언하지 않은 변수를 사용하려 하면 컴파일 단계에서 Variable not defined 오류가 발생한다. 이는 오타·형식 오류를 조기에 발견하게 하므로 코드 안정성이 향상된다.구분Option Explicit 사용Option Explicit 미사용컴파일 시점미선언 변수 검출검출하지 못함런타임 오류감소증가디버깅 시간단축장기화코드 신뢰성높음낮음VBA에서 변수 .. 2025. 7. 30.
변수의 범위(Public, Private) 엑셀 VBA에서 변수의 범위(scope)와 수명(lifetime)을 정확히 이해하면 모듈 간 데이터 교환, 메모리 관리, 디버깅 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본 글은 Public과 Private을 중심으로 각 선언 키워드가 실제 코드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다룬다. 실무 예제와 표를 통해 독자가 즉시 현장 적용할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한다.변수 범위와 수명의 개념범위(scope)란 변수를 참조할 수 있는 코드 영역이며, 수명(lifetime)은 변수가 메모리에 존재하는 기간이다. VBA는 모듈 구조 언어이므로 프로시저 수준, 모듈 수준, 프로젝트(전역) 수준으로 구분한다.프로시저 수준(Local)Dim 또는 Static으로 선언한다.변수는 해당 프로시저 내부에서만 참조 가능하다.Dim → 프로시저 종료 시.. 2025. 7. 29.
변수를 선언하는 Dim 키워드 엑셀 VBA 개발자는 변수를 명확하게 선언하여 코드 오류를 예방하고 성능을 최적화해야 한다. 본 포스팅은 Dim 키워드의 동작 원리, 데이터형 지정 방법, 범위‧수명 관리, 실무 활용 팁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현업에서 즉시 적용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Dim 키워드란 무엇인가Dim(Dimension)은 VBA에서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하는 핵심 키워드이다. 메모리에 변수를 위한 공간을 예약하고, 컴파일러에게 해당 이름이 변수임을 알린다. 명시적 선언을 통해 가독성과 디버깅 효율을 높일 수 있다.암묵적 선언과 명시적 선언 비교구분선언 방법장점단점암묵적Option Explicit 미사용, 변수명만 사용코드 입력이 빠르다오타로 인한 런타임 오류, Variant 남용명시적(권장)Option Explicit + D.. 2025. 7. 28.
변수(Variable) 개념과 역할 변수는 데이터 분석·프로그래밍·엑셀 자동화 등 모든 정보 처리 과정에서 값을 기억·조작·관리하기 위해 반드시 이해해야 하는 기본 개념이다. 본 글은 변수의 정의, 종류, 선언·초기화 방법, 메모리 상의 역할, 실무 활용 팁을 종합적으로 설명하여 독자가 변수 활용 능력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1. 변수란 무엇인가?변수는 “변할 수 있는 수”라는 뜻이다. 프로그램이나 수식이 실행되는 동안 메모리 공간에 할당된 값을 이름으로 참조하게 하는 장치이다. 즉, 변수는 데이터 저장 공간 + 식별자 역할을 수행한다.1.1 변수의 3요소이름(Name) : 개발자가 지정하는 식별자이다.자료형(Type) : 정수, 실수, 문자열 등 저장할 값의 형태이다.값(Value) : 실제로 메모리에 기록되는 데이터이다.1.2 변.. 2025. 7. 27.
반응형